본문 바로가기
아동발달

정서와 정서 지능 : 정서란

by 히희낙락 2022. 7. 27.

모든 발달 영역은 서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의 정서 변화가 그들의 인지발달이나 사회성 발달과 마찬가지로 극적이라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유아의 언어, 표상 능력, 자아 개념의 발달 등은 유아 정서 이해, 정서 원인 이해 나아가 정서 통제 능력을 발달하도록 돕습니다. 다시 말해, 2세에서 6세 사이의 유아기는 정서 능력에서 장족의 발전을 보이는 시기로 이를 연구자들은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이라고 부릅니다. 그러한 이유로 드는 것은 첫째, 유아들은 정서를 이해하고 그에 대해 더 많은 이야기를 하게 되며 타인의 정서적 신호를 더욱 적절히 반응하게 됩니다. 둘째, 유아는 정서 자기 통제를 더욱 잘하며, 특히 강한 부정적 정서에 잘 적응할 수 있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유아는 자의식적 정서와 공감을 종종 나타내며 이는 이들의 도덕 발달에 기여합니다.

이러한 유아 정서발달에는 부모 양육태도가 많은 영향을 주며 정서 유능성은 유아가 성공적인 친구관계를 맺게 하며 전반적으론 정서적 건강을 유지하게 합니다.

 

이제 정서와 정서의 기능이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서란

우리는 정서가 대부분 무엇인가에 대해 이해하고 있지만 심리학자들은 정서의 정의를 내린 걸 보면 놀랍게도 매우 알기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많은 학자들이 동의하는 의미로는 마음과 같습니다.

정서란 내부, 외부 사건에 의해 발생된 일련의 복잡한 행동이라는 것입니다.

이를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첫째, 정서는 자율신경계의 활동에서의 변화, 즉 호흡과 심장박동의 변화를 포함하는 생리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불안이나 두려움은 호흡을 빠르게 하고 심장박동이 증가하게 하며 혈압을 증가시킵니다. 둘째, 정서에는 표현적 요소가 있습니다. 미소, 하하 웃는 것, 울음 등은 개인적인 정서 상태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셋째, 정서는 경험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정서에 대한 주관적인 감정 또는 인지적인 판단입니다. 한 개인이 정서적인 상태를 어떻게 해석하느냐는 그의 인지적인 발달 수준과 그의 경험에 따라 다릅니다. 유아가 '나는 행복해'라고 할 수 있으려면 자신의 경험에서 유추된 행복과 관련된 내적인 단서와 외적인 맥락을 연결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그뿐 아니라 인지적인 성숙의 단서인 자신에 대해 비교적 성숙된 개념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정서의 기능

 

정서와 인지)

 

유아 심리발달에서 정서는 어떤 역할을 할까요? 정서적 반응은 생존에 필수적인 학습에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엄마가 "안 돼!"라는 말 한마디는 유아가 뜨거운 주전자를 만지지 않게 하는 데 충분합니다.

또한 정서는 인지와 중요한 관련을 갖습니다. 유아가 인지적 활동을 하면서 미소를 짓거나 놀라움을 나타내거나 혹은 두려움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유아들이 놀잇감을 가지고 무엇을 만들고 나서는 환하게 웃는 모습을 보입니다.

 

인지 과정이 정서 표현을 하게 할 뿐 아니라 유아 정서 상태가 인지 과정에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정서와 인지와의 관계는 불안이 유아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과에서 잘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매우 높거나, 낮은 불안은 수행을 잘하지 못하게 하나 중간 정도의 불안은 수행을 촉진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정서는 기억에도 영향을 줍니다. 유아가 특정한 사물이나 주제에 대해 흥미를 보이는 경우, 다시 말해 강한 즐거움이나 관심을 표현하는 경우, 그러한 자극에 주의 집중을 더 하고 그 주제에 대한 기억을 잘한다고 합니다.

 

정서와 사회성 행동)

 

정서는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유발하게 하고 유지하게 하거나 끝내게 합니다.

예를 들어 유아가 친구가 자신에게 놀잇감을 같이 나누어 주지 않는다고 화를 내는 경우, 일시적으로 친구를 잃게 합니다. 마찬가지로 타인의 정서적 반응은 유아의 사회성 행동을 통제합니다. 주 양육자와 3개월 된 영아와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흥미로운 것을 알 수 있었는데 부모가 반응하지 않거나, 무표정할 경우 영아는 얼굴 표정, 신체적 움직임, 소리를 통해 부모의 반응을 다시 얻으려 노력하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런 노력이 실패하자 영아는 눈살을 찌푸리거나, 울어 버렸습니다. 이런 연구는 영아라 할지라도 면대면의 상호작용에서는 부모가 정서적으로 반응할 것을 기대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합니다.

 

정서와 건강)

 

유아의 신체적 건강과 복지에 정서가 영향을 줍니다. , 지속적인 심리적 스트레스 등은 영아기에서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건강 문제와 관련됨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트레스는 심장박동과 혈압을 올라가게 하고 암을 유발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스트레스는 소화 활동에도 영향을 주어 설사, 변비, 위궤양, 대장염 등을 일으키며 질병을 유발하게 할 뿐 아니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질병을 더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정서와 건강 이 둘의 관계를 극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캐나다 가정에 입양된 루마니아 고아원 아동에 대한 연구입니다. 이들은 성인의 자극이나 관심을 거의 받지 못하였고 감염, 장내 기생충, 빈혈, 간염 등을 앓고 있는 영아들이었습니다. 출생 직후 입양된 아기들과 비교해 신체적으로 질병을 앓고 있고 정서적으로 결손된 이들은 스트레스에 대해 극단적인 반응을 보여 타액에 매우 높은 농도의 코티졸이 나타났습니다.

이는 지속적인 질병, 주의 집중 문제, 충동의 통제의 결여 등과 같은 학습 및 행동 문제와 연결되는 생리적 반응입니다. 입양 후 6년 반이 지났는데도 오랜 시간 동안 고아원에 있었던 아동일수록 코티졸의 수준이 높에 나타났습니다.

다행인 것은 성인의 정성스러운 돌봄은 코티졸 수준의 정상화를 돕는다는 점입니다.

좋은 양육은 아직 다 발달하지 않은 두뇌를 과도하고 부적절한 스트레스에 대한 노출에서 올 수 있는 손상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것 같습니다.

'아동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서와 정서 지능 : 정서 이해  (0) 2022.07.28
정서와 정서 지능 : 유아기 정서  (0) 2022.07.28
언어발달 : 의사소통  (0) 2022.07.27
언어발달 : 유아기 언어발달  (0) 2022.07.27
지능과 창의성 : 창의성  (0) 2022.07.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