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이론이란
피아제는 아동이 과학자와 같이 어떻게 세상을 움직이는가에 관한 이론을 만들어 낸다고 믿었습니다. 아동들의 세상에 대한 이론을 상식 이론이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실제 과학적 이론과는 달리 전문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추상적인 실험에 의해 평가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식 이론은 아동이 새로운 경험을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가치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피아제는 아동이 수많은 현상, 예를 들면 사람, 사물, 도덕 등에 관련된 추리 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매우 포괄적인 이론을 만들어 낸다고 봤습니다. 하지만 최근 견해들은 아동이 실제 과학자들과 마찬가지로 협소한 영역에 관련된 전문적인 이론을 발달시킨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즉, 본인의 경험에 기초해 사람, 사물, 생물 속성에 관련된 자신의 지식을 조직화하여 이론을 발달시킨다는 것입니다.
아동이 '인간'에 대해 만들어 내는 상식 이론을 상식 심리학이라고도 합니다. 상식 심리학이란 사람들이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어떻게 행동할지에 관련된 이해를 말합니다. 이런 상식 심리학은 아동뿐만 아니라 성인들도 종종 사용합니다. 상식 심리학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통해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이기 때문에 '마음 이론'이라고도 합니다. 마음 이론이란 사람의 행동이 마음속에서 믿거나 의도하고 바라는 것으로부터 비롯된다는 것을 이해하는 능력이라 정의합니다.
유아의 마음 이론 발달
웰만은 마음 이론을 주장하는 대표적 학자입니다. 그에 의하면 마음 이론은 유아기 동안 3단계에 걸쳐서 발달합니다. 2세경에 시작되는 첫 단계는 유아가 이해하게 되어, 자신이 하고 싶은 것, 원하는 것에 대해 자주 말하게 되며 종종 행동으로 이어집니다. 또한 원하는 것,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 등이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압니다. 이 단계의 유아는 정서나 욕구, 의도적인 행동이나 욕구를 나타내는 단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3세경의 두 번째 단계에는, 정신적인 세계와 실제 물리적인 세계가 구별된다는 것을 이해하게 됩니다. 예를 유아에게 한 아이는 쿠키를 가지고 있고, 다른 아이는 쿠키에 대해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을 때, 3세 유아는 첫 번째 아이만 쿠키를 만질 수 있고, 먹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하지만 이때 유아들은 항상 사람들이 바람과 일치되게 행동한다고 생각하며, 믿음과 같은 정신적인 상태 또한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3-4세경의 유아들은 자신이나 타인의 믿음, 사고에 관련하여 '안다.', '생각한다.'라는 어휘를 사용합니다. 마지막 단계는 4세가 되면 자신과 타인의 행동이 믿음이나 바람에 기초한 것이라는 걸 알게 됩니다.
유아의 마음 이론에 관한 발달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많이 활용되고 있는 연구과제가 틀린 믿음 과제입니다. 한 예를 들자면, 한쪽에는 밴드 그림과 밴드라는 글이 쓰여 있고, 다른 쪽에는 아무런 표시가 없는 2개의 상자를 유아에게 보여주고, "밴드가 들어 있다고 생각되는 상자를 가리켜 보렴"이라고 하면 대부분의 유아는 밴드라고 쓰인 상자를 가리킵니다. 그런 뒤에 상자를 열어 보여주는데 실제로 밴드라 쓰인 상자엔 밴드가 들어 있지 않고, 글씨가 쓰여 있지 않은 상자에 밴드가 들어 있습니다. 다음에는 인형을 보여주면서 "이 아이는 영희라고 하는데 손을 다쳤어, 네 생각에는 영희가 어떤 상자에서 밴드를 찾을 것 같니? 상자 안을 보기 전에 너는 아무런 글씨도 쓰여 있지 않은 상자에 밴드가 있다고 생각했니? 왜 그렇게 생각하였니?"등과 같은 질문을 하였습니다. 결과를 보면 3세 유아의 절반 정도가 자신의 틀린 믿음과 영희에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었습니다. 즉 3세 유아의 경우 절반 정도만이 영희가 밴드라고 쓰인 상자에서 찾을 것이라 대답하나 4세 유아는 대부분 다 밴드라고 쓰인 상자에서 찾을 것이라 설명할 수 있었습니다.
다양한 사회 경제적 수준, 문화를 배경으로 이루어진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틀린 믿음에 관한 이해는 3세 반 이후 강화되어 4세에서 6세 사이에 비교적 안정적으로 되었습니다.
틀린 믿음에 관련된 이해는 자신과 다른 사람의 정서나 생각을 반영하는 강력한 수단이 되며, 유아의 사회성에 대한 좋은 예측 변인이 됩니다. 유아가 틀린 믿음을 이해하는 것은 이들의 읽기 능력과 관련 있는데, 이는 유아가 이야기 줄거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유아가 이야기 전개를 따라가려면 줄거리의 상황, 주인공의 동기와 믿음을 연결시킬 수 있어야 되기 때문입니다.
마음 이론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
사회적 상호작용)
유아의 사회적 경험은 마음 이해를 촉진시킵니다. 안정 애착을 형성한 아이들의 부모와 자녀 관계는 정신적인 상태를 더욱 이야기하는 정교한 대화가 오가는 관계입니다. 이들의 긍정적인 관계는 유아가 본인과 타인의 정신적인 삶에 대해 생각하도록 도움을 주는 개념이나 언어에 더 노출될 수 있게 합니다.
또한 자신보다 나이 많은 형제가 2명 이상 있는 유아들이 틀린 믿음 과제를 더 잘 수행하였습니다. 이는 타인의 견해에 대해 이야기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으로, 자신보다 유능한 사회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이 틀린 믿음 과제를 잘 수행하게 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언어와 언어적 추론)
마음 이론 발달에 전 전두엽 피질이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4세에서 6세 유아가 타인의 믿음에 대한 추론을 할 때의 두뇌 파장 기록을 보면 틀린 믿음 과제를 통과한 아이들은 같은 과제에 대한 성인과 유사한 좌반구의 전 전두엽 피질의 활동과 같은 활동 패턴을 보입니다. 이런 좌반구 전 전두엽의 활동 패턴은 성인이 지적 개념을 언어로 추론할 때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마음을 이해하는 건 언어가 필요한 사고를 반영하는 능력이 요구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언어능력이 유아의 틀린 믿음 과제를 통과하느냐를 강력하게 예측하게 합니다.
인지능력)
융통성 있게 생각하고 부적절한 반응을 억제하며 계획할 수 있는 능력은 틀린 믿음 과제 숙달을 촉진시킵니다. 억제할 수 있음은 틀린 믿음 과제 숙달과 매우 관련되는데, 아마 틀린 믿음 과제를 잘 수행하기 위해선 유아들의 무관한 반응, 타인의 지식과 믿음이 본인과 같다고 생각하는 것을 억누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아동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능과 창의성 : 창의성 (0) | 2022.07.23 |
---|---|
지능과 창의성 : 지능 이론 (0) | 2022.07.21 |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0) | 2022.07.20 |
인지발달 : 피아제의 이론 (0) | 2022.07.19 |
운동능력 발달 (0) | 2022.07.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