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0 동물행동학 이론 : 볼비의 애착 이론 민감기 시기 프로이트와 마찬가지로 동물행동학에서도 초기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볼비는 인생 초기에 형성되는 사회적 관계의 질이 그 이후의 발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믿습니다. 동물행동학에서는 아동 발달에 결정적 시기가 있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동물에게서는 결정적 시기의 개념이 각인과 같은 발달의 특정 측면을 설명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인간 발달에는 민감한 시기가 보다 더 적절한 개념인 것으로 보입니다. 민감한 시기는 그 개념과 범위가 결정적 시기보다 덜 고정적입니다. 민감한 시기는 특정한 행동이나 능력이 출현하는 데에 최적의 시기로서 아동은 이 시기에 특정한 환경의 자극에 민감한 반응을 보입니다. 민감한 시기가 지난 후에도 발달이 이루어질 수는 있지만, 그때는 시간이 더 오래 소요될 뿐 아니.. 2022. 8. 3. 동물행동학 이론 : 로렌츠의 각인 이론 본능적 행동 동물행동학자들은 본능에 흥미를 갖습니다. 본능은 일반적으로 학습되지 아니한 행동을 의미하지만 동물행동학자에게 있어서 본능은 학습되지 아니한 특별한 종류의 행동을 뜻합니다. 이러한 본능에는 몇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첫째, 본능은 특수한 외적인 자극에 의해서 유발됩니다. 암탉이 위험에서 병아리를 보호하는 본능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얼핏 보면 암탉은 병아리가 위험에 처해 있을 때에는 항상 달려가서 구조하는 반응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암탉은 매우 특수한 자극, 즉 병아리가 울부짖는 소리에 반응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한 실험에서 병아리를 기둥에 묶고 장막으로 가렸을 때 어미닭은 병아리가 울부짖는 소리를 듣고서 병아리를 구조하려고 하였습니다. 다음엔 장막을 치우고 버둥대는 병아리를 유.. 2022. 8. 3. 정보처리 이론 : 기억의 발달 기억용량의 증가 아동의 연령이 증가하면서 기억능력도 크게 발달합니다. 기억용량이 증가하는 것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억 공간에는 감각기억, 단기기억, 장기기억이 있는데 감각기억과 장기기억의 용량은 연령의 따른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기억용량의 증가는 단기기억 용량의 증가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단기기억의 용량은 기억폭 검사에 의해 측정됩니다. 기억 전략의 발달 기억 전략은 정보를 장기기억 속에 저장하고 그 정보가 필요할 때 인출이 용이하도록 해주는 의도적 활동을 말합니다. 이것을 기억술이라고도 합니다. 기억 전략에는 기억해야 할 정보에 주의를 기울이는 주의 집중, 하려는 것을 반복해서 연습하는 시연, 관련된 것끼리 집단화시키고 유목화하는 조직화, .. 2022. 8. 2. 정보처리 이론 : 정보처리 과정 정보처리의 과정 정보처리 과정에는 부호화, 저장, 인출이라는 3가지 기본적인 과정이 있습니다. 우리가 정보를 입력하는 부호화 과정은 컴퓨터 자판이 하는 기능에 해당되고, 저장 과정은 정보가 저장되는 하드 드라이브 기능에 해당됩니다. 또한 인출 과정은 정보가 나타나는 모니터 화면의 기능에 해당됩니다. '부호화'는 정보를 필요할 때 나중에 잘 기억해 낼 수 있는 형태로 기록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정보의 바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수없이 많은 정보에 노출되기 때문에 그 모든 정보를 다 받아들일 수는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선택적 부호화를 하게 됩니다. 다시 말해, 필요한 정보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를 선택적으로 부호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부호화 과정에서는 여러 가지 자극을 우리가 기억할 .. 2022. 8. 2. 이전 1 2 3 4 5 ··· 8 다음